맨위로가기

프랑스 혁명 전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랑스 혁명 전쟁은 1792년부터 1802년까지 프랑스와 유럽 여러 국가 간에 벌어진 일련의 전쟁을 통칭한다. 프랑스 혁명의 여파로 유럽 열강 간의 긴장이 고조되었고, 프랑스 혁명 정부는 주변 국가들의 간섭에 맞서 싸우게 되었다. 영국을 중심으로 여러 차례 대프랑스 동맹이 결성되었고, 프랑스는 이집트 원정을 감행하는 등 전쟁은 전 유럽으로 확산되었다.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활약으로 프랑스가 우위를 점했으나, 결국 아미앵 조약으로 종결되었다. 하지만 이 평화는 오래가지 못하고 나폴레옹 전쟁으로 이어졌다. 이 전쟁은 프랑스의 영토 확장과 군사력 증강, 그리고 군의 정치적 영향력 확대를 가져왔으며, 유럽의 정치 지형을 크게 변화시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01년 분쟁 - 제2차 대프랑스 동맹
    제2차 대프랑스 동맹은 나폴레옹의 이집트 원정 시기에 영국, 오스트리아, 러시아, 오스만 제국 등이 프랑스에 대항하기 위해 결성되었으나, 내부 분열로 붕괴되어 뤼네빌 조약과 아미앵 조약으로 종결되었다.
  • 1801년 분쟁 - 이집트-시리아 원정
    이집트-시리아 원정은 1798년부터 1801년까지 나폴레옹이 이끄는 프랑스군이 이집트를 점령하고 시리아로 진격하려 했던 군사 원정으로, 영국 견제와 인도 식민지 연결 차단, 맘루크 세력 종식 및 오스만 제국 지원을 명분으로 했으나, 군사적 실패와는 별개로 이집트학 발전과 오리엔탈리즘 형성에 기여했다.
  • 1802년 분쟁 - 제2차 대프랑스 동맹
    제2차 대프랑스 동맹은 나폴레옹의 이집트 원정 시기에 영국, 오스트리아, 러시아, 오스만 제국 등이 프랑스에 대항하기 위해 결성되었으나, 내부 분열로 붕괴되어 뤼네빌 조약과 아미앵 조약으로 종결되었다.
  • 1802년 분쟁 - 슈테클리크리크
    슈테클리크리크는 1802년 프랑스 철수 후 헬베티아 공화국에 대한 반란으로 시작되어 연방주의자들의 봉기와 반유대주의 폭력 사태를 겪었으며, 나폴레옹의 중재로 스위스 연방 재건의 계기가 된 스위스의 내전이다.
프랑스 혁명 전쟁 - [전쟁]에 관한 문서
프랑스 혁명 전쟁
프랑스 혁명 전쟁
클릭하면 해당 문서로 이동합니다. 왼쪽에서 오른쪽, 위에서 아래로: 발미 전투, 툴롱, 플뢰뤼스, 키브롱, 아르콜레, 만토바, 피라미드, 나일, 취리히, 마렝고, 호엔린덴, 라빈아쿨뢰브르
시기1792년 4월 20일 ~ 1802년 3월 27일
장소유럽, 이집트, 중동, 대서양, 카리브해, 인도양
결과제1차 대프랑스 동맹: 프랑스 승리
바젤 조약
캄포 포르미오 조약
제2차 대프랑스 동맹: 프랑스 승리
뤼네빌 조약
아미앵 조약
영토 변경프랑스 왕국 붕괴 및 프랑스 공화국 수립
프랑스가 피에몬테와 라인강 서쪽의 모든 영토를 합병
친프랑스적인 바타비아 공화국, 헬베티아 공화국, 이탈리아 공화국, 리구리아 공화국 수립
루이지애나를 프랑스에 반환
기타 영토 변경
교전 세력
제1 교전 세력가톨릭 왕당파 군대
에미그레 군대

오스트리아 (1801년까지)
(1792년~1795년)
(1801년까지)
영국-코르시카 왕국 (1796년까지)
(1801년부터)
(1793년~1795년)
(1793년~1795년)

(1798년)

몰타 기사단 (1798년)
몰타 (1798년~1800년)


(1799년)
기타 이탈리아 국가
남부 네덜란드 농민 (농민 전쟁)
생도맹그 반군 (아이티 혁명) (1791년~1794년)
(유사 전쟁) (1798년~1800년)
제2 교전 세력프랑스 왕국 (1792년까지)
프랑스 공화국 (1792년부터)
바타비아 공화국 (1795년~1802년)
아일랜드 공화국
폴란드 군단
헬베티아 공화국 (1798년, 1802년)
(1796년~1802년)
지휘관
제1 교전 세력 지휘관콩데 공 루이 조제프
자크 카틀리노
앙리 드 라 로슈자클랭
조르주 카두달
장 슈앙
프란츠 2세
카를 대공
요제프 알빈치
미하엘 폰 멜라스
프랑수아 세바스티앵 드 크루아
요시아스 공자
다고베르트 지크문트 폰 뷔름저
프리드리히 빌헬름 2세
카를 빌헬름 페르디난트
프리드리히 루이스
조지 3세
윌리엄 피트 (1801년까지)
헨리 애딩턴 (1801년부터)
호레이쇼 넬슨
프레더릭 공작
랄프 애버크롬비
시드니 스미스
카를로스 4세 (1795년까지)
안토니오 리카르도스
루이스 페르민
빌럼 5세
로렌스 피터르 판 데르 스피겔
빌럼 공세자
비토리오 아마데오 3세
미켈란젤로 콜리
페르디난도 4세
셀림 3세
제자르 파샤
무라드 베이
마리아 1세
주앙 섭정
미겔 페레이라 포르자스
파벨 1세
알렉산드르 수보로프
알렉산드르 코르사코프
표도르 우샤코프
남부 네덜란드 농민: 피터 코르벨스
투생 루베르튀르
존 애덤스
제2 교전 세력 지휘관루이 16세
자크 피에르 브리소
막시밀리앵 드 로베스피에르
폴 바라스 (1795년~1799년)
로베르 린데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장 샤를 피슈그뤼
장바티스트 주르당
라자르 오슈
앙드레 마세나
장 란
샤를 프랑수아 뒤무리에
장 빅토르 마리 모로
프랑수아 켈레르만
루이 데제
장 움베르
카를로스 4세 (1796년부터)
이그나시오 데 알라바
헤르만 빌럼 다엔델스
볼프 톤
[[파일:POL COA Ciołek.svg|20px]] 얀 헨리크 동브로프스키
병력 규모
제2 교전 세력 병력 규모1794년: 1,169,000명
사상자 및 피해 규모
제1 교전 세력 사상자 및 피해 규모오스트리아 (1792년~1797년)
전사: 94,700명
부상: 100,000명
포로: 220,000명
1796년~1797년 이탈리아 전역
연합군 전사: 27,000명
부상: 불명
포로: 160,000명
포획된 대포: 1,600문
영국 해군 전사: 3,200명
제2 교전 세력 사상자 및 피해 규모프랑스 (1792년~1797년)
전사: 100,000명
포로: 150,000명
1796년~1797년 이탈리아 전역
사상, 부상, 포로: 45,000명 (전사 10,000명)
프랑스 해군 전사: 10,000명

2. 배경

18세기 말, 유럽은 강대국 간의 복잡한 세력 균형 속에서 프랑스 혁명이라는 거대한 변화를 맞이하게 되었다. 프랑스 혁명은 단순한 국내 문제를 넘어 유럽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사건이었다.

프랑스 혁명은 알자스 지방에 대한 독일 군주들의 소유권에 영향을 미쳐 독일 군주들과의 긴장 관계를 야기했고, 교회 재산 몰수 및 아비뇽 합병으로 교황과의 관계를 악화시켰다.[31]

2. 1. 국제 정세

7년 전쟁 이후 유럽 강대국 간의 대립은 완화되는 추세였다.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러시아폴란드 분할에 협력하며 세력을 확장했다. 러시아스웨덴핀란드 문제를 두고 갈등했지만, 스웨덴의 우세로 러시아가 핀란드에서 물러나면서 관계가 개선되었다. 영국은 미국 독립 전쟁으로 인해 국제적으로 고립되었으나, 전쟁이 끝나면서 고립에서 벗어났다.

이러한 국제 정세 속에서 프랑스 혁명이 발발했다. 스웨덴 국왕 구스타프 3세는 프랑스 왕가와 인연으로 반혁명 입장을 표명하고, 1791년 바렌느 사건 직후 반혁명 십자군 결성을 호소했으나 예카테리나 2세만이 호응하여 결성은 무산되었다. 1792년 구스타프 3세 암살 이후 스웨덴은 중립을 지켰다.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레오폴트 2세마리 앙투아네트의 친오빠로서, 혁명이 과격해지자 1791년 8월 27일 프로이센 국왕 프리드리히 빌헬름 2세와 함께 필니츠 선언을 발표하여 프랑스 왕가의 안전을 위해 필요하다면 혁명에 개입할 수 있다고 밝혔다.

레오폴트 2세는 전쟁을 원치 않았지만, 프랑스 혁명 정부는 이 선언을 위협으로 받아들였다.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와 독일의 왕당파 망명 귀족들의 선동, 알자스-로렌 귀속 문제 등도 혁명 정부를 자극했다. 결국 1792년 4월 20일 프랑스 입법 의회는 샤를 프랑수아 뒤무리에 등의 주도로 오스트리아에 선전포고를 결의했다.[32][33]

2. 2. 프랑스 혁명과 유럽 군주국의 반응

1780년대 말, 7년 전쟁 이후 유럽 강대국 간의 대립은 해소되어 가고 있었다.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러시아 3국은 폴란드 분할(1772년)에 협조하여 국경 인접 지역을 획득했다. 러시아스웨덴제1차 러시아-스웨덴 전쟁을 벌였지만, 스웨덴의 우세로 러시아가 핀란드 간섭을 중지하여 양국 관계는 개선되었다. 영국은 미국 독립 전쟁으로 제1차 무장 중립 동맹이 결성되어 국제적으로 고립되었으나, 전쟁 종결로 고립이 해소되었다. 이러한 국제 환경에서 ‘프랑스 혁명’이 발발했다.

유럽의 군주들은 프랑스 혁명의 동향을 주시하고 있었다. 스웨덴 국왕 구스타프 3세는 프랑스 왕가와 인연으로 반혁명 입장을 표명했다. 1791년 6월, 루이 16세 일가의 프랑스 탈출(바렌느 사건)이 실패하자, 망명 귀족(에미그레)과 연계해 반혁명 십자군 결성을 유럽 각국에 호소했다. 그러나 러시아 황제 예카테리나 2세만 요청에 응했을 뿐, 결성에는 이르지 못했다. 1792년 3월 구스타프 3세가 암살되자, 스웨덴은 혁명 전쟁에 참가할 명분이 없어졌다.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레오폴트 2세는 프랑스 국왕 루이 16세의 왕비 마리 앙투아네트의 친오빠로서, 혁명이 과격해짐에 따라 친족에게 가해지는 위험을 간과할 수 없었다. 1791년 8월 27일, 레오폴트 2세는 망명 귀족인 아르투아 백작(루이 16세의 동생)의 중재 하에 프로이센 국왕 프리드리히 빌헬름 2세와 공동으로 《필니츠 선언》을 발표했다. 이는 프랑스 왕가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필요하다면 혁명에 개입할 준비를 한다는 내용이었다.

레오폴트 2세 자신은 전쟁을 원하지 않았지만, 프랑스 혁명 정부는 이 선언을 심각한 위협으로 받아들였다. 또한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벨기에, 룩셈부르크)와 독일의 왕당파와 망명 귀족의 선동 활동도 혁명 정부를 자극했다. 프랑스와 오스트리아 사이에는 알자스-로렌 귀속 문제라는 오랜 갈등도 있었다. 이러한 배경으로 당시 외무대신이었던 샤를 프랑수아 뒤무리에 등의 주도로, 프랑스 입법 의회1792년 4월 20일 오스트리아에 선전 포고를 결의했다.[32][33]

2. 3. 프랑스의 선전포고

이러한 배경에서, 프랑스 혁명 정부는 오스트리아(Österreich)에 선전포고를 결의했다(1792년 4월 20일).[36]

3. 전개 과정

프랑스군은 대규모 병력을 바탕으로 대프랑스 동맹군을 압도했지만, 보급을 적국 영토에서의 징발에 의존했기 때문에 전쟁은 프랑스의 침략 양상을 띠게 되었다. 1794년 6월 26일, 플뢰뤼스 전투에서 주르당이 오스트리아군에게 승리하면서 대프랑스 동맹군은 라인강 서쪽에서 철수했고, 프랑스군은 남부 네덜란드와 라인란트 대부분을 점령했다.

1795년 초, 피슈그뤼가 이끄는 프랑스군은 겨울철을 틈타 네덜란드에 대규모 공세를 펼쳤다. 네덜란드는 프랑스 혁명에 동조하는 이들이 많아 도시들이 차례로 함락되었고, 빌럼 5세는 도망가고 네덜란드 함대는 접수되었다. 1795년 1월 19일, 네덜란드에 바타비아 공화국이 세워졌고, 브라반트 공국과 마스트리히트가 프랑스에 할양되었다.

네덜란드 함락을 본 프로이센1795년 4월 5일 바젤 조약을 체결하여 프랑스와 강화했다. 프로이센은 프랑스의 라인란트 합병을 인정했지만, 폴란드 분할에 집중할 수 있게 되었다. 1795년 7월 22일 제2차 바젤 조약을 통해 스페인도 프랑스와 평화 조약을 맺고, 점령지 회복의 대가로 혁명 정부를 승인하고 산토도밍고를 할양했다.

1795년 10월 26일, 프랑스 총재정부가 성립되자 프랑스군은 영국오스트리아에 대한 전쟁 수행에 박차를 가했다. 영국을 직접 공격할 수 없었기에 오스트리아의 영향권 아래에 있는 북부 이탈리아 정복에 착수했다.[41]

1797년 2월 14일, 저비스가 이끄는 영국 해군은 세인트빈센트곶 해전에서 스페인 함대를 격파하여 프랑스 함대와의 합류를 막고 영국 침략 위협을 제거했다. 그러나 영국 함대는 스핏헤드와 노어 반란으로 인해 약화되었다.

1797년 2월 22일, 윌리엄 테이트가 이끄는 프랑스군이 피시가드(웨일스) 근처에 상륙했지만, 존 캠벨이 이끄는 영국군에게 패배하고 무조건 항복했다.

이탈리아에서는 나폴레옹 군대가 만투아 공성전을 벌였고, 리볼리 전투에서 오스트리아군을 격퇴하며 승리했다. 1797년 2월 2일, 뷜름제르는 만투아와 1만 8천 명의 군대를 항복시켰다. 교황령은 톨렌티노 조약을 통해 평화를 요청했다. 나폴레옹은 줄리안 알프스를 넘어 오스트리아 본토를 공격했고, 오스트리아의 찰스 대공은 탈리아멘토 전투에서 패배했다. 나폴레옹은 클라겐푸르트를 점령하고 비엔나 앞에서 주베르와 합류할 준비를 했다. 독일에서는 쇼슈와 모로의 군대가 라인강을 건넜다. 나폴레옹의 승리로 오스트리아는 레오벤 조약을 체결하여 적대 행위를 종식시켰다. 그러나 이탈리아에서 베로네세 부활절로 알려진 반란이 발생했지만, 8일 후 진압되었다.

영국과의 전쟁은 계속되었지만, 제1차 대프랑스 동맹은 사실상 종식되었다. 오스트리아는 캄포 포르미오 조약을 체결하여 오스트리아 네덜란드를 프랑스에 할양하고 라인강에 있는 프랑스 국경을 인정했다. 오스트리아와 프랑스는 베네치아 공화국을 분할했다.

1798년 7월, 나폴레옹이 이끄는 프랑스군은 피라미드 전투에서 이집트군을 궤멸시켰다.


나일 해전, 1798년 8월. 영국 함대가 프랑스 함대를 향해 돌진하고 있다.


영국만이 남은 적으로, 직접적인 전쟁을 벌일 해군력이 부족했던 나폴레옹은 1798년 이집트 침공을 계획했다. 나폴레옹은 툴롱에서 알렉산드리아로 항해하여 몰타를 점령하고 6월에 상륙했다. 카이로로 진군하여 피라미드 전투에서 승리했지만, 나일 해전에서 넬슨 제독에게 함대가 격파되어 이집트에 고립되었다.[13]

프랑스 정부는 스위스의 내분을 이용하여 침공하여 헬베티아 공화국을 수립하고 제네바를 병합했다. 프랑스군은 비오 6세를 축출하고 로마에 공화국을 수립했다.

1798년 여름, 코노트 공화국의 일부였던 아일랜드 메이오주에 원정군이 파견되어 영국에 대한 반란을 지원했지만, 발리나막 전투에서 패배했다. 프랑스 함선은 토리 섬 해전에서 나포되었다.

프랑스는 남부 네덜란드와 룩셈부르크에서 농민 전쟁으로 압력을 받았지만, 2개월 이내에 진압했다.

1798년 프랑스는 미국과 준전쟁을 벌였고, 1800년 조약으로 해결되었다.

3. 1. 제1차 대프랑스 동맹 (1792-1797)

리볼리 전투


제1차 대프랑스 동맹(1792-1797)은 프랑스 혁명에 대한 유럽 군주국들의 개입으로 시작되었다. 그레이트브리튼 왕국, 오스트리아,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벨기에, 룩셈부르크), 프로이센, 스페인, 나폴리 왕국, 사르데냐 왕국 등이 동맹에 참여했다.[41] 프랑스 측에서는 1796년 10월 이후 스페인이 참전했다.

1795년 초, 프랑스군은 얼어붙은 강을 이용하여 네덜란드를 공격, 바타비아 공화국을 수립하고 브라반트마스트리흐트를 할양받았다. 프로이센바젤 조약(4월 5일)을 통해 프랑스의 라인란트 합병을 인정했고, 스페인도 제2차 바젤 조약(7월 22일)을 통해 산토도밍고를 할양했다.

1796년 프랑스 총재정부오스트리아를 굴복시키기 위해 세 방향 공격을 계획했다. 주르당모로가 라인 방면, 나폴레옹이 이탈리아 방면을 맡았다. 나폴레옹은 이탈리아에서 사르데냐 왕국을 항복시키고 오스트리아군을 격파하며 카스틸리오네 전투, 아르콜레 다리 전투에서 승리했다.[41]

1797년 리볼리 전투에서 오스트리아가 패배하고 만토바가 함락되면서, 오스트리아는 레오벤 조약을 통해 휴전을 제의했다. 캄포포르미오 조약을 통해 프랑스는 남부 네덜란드와 라인 강 좌측 해안을 합병하고, 북부 이탈리아에 치살피나 공화국 등의 위성국을 수립했다. 오스트리아는 베네치아 공화국을 합병하며 제1차 대프랑스 동맹은 붕괴되었다.

3. 1. 1. 프랑스의 위기 (1792-1793)

발미 전투


샤를 프랑수아 뒤무리에는 네덜란드 남부 침공 작전을 계획하고 있었다. 현지 주민들이 프랑스군에 호응하여 황제의 지배에 맞서 봉기할 것이라는 기대도 있었다. 그러나 혁명으로 프랑스군 조직은 혼란스러웠다. 장교들은 귀족 계급이었기 때문에 혁명 정부에 비협조적이었고, 병사들의 규율도 느슨해져서 적전 도주를 하거나, 혁명을 빌미로 상관을 살해하는 경우도 있었다.[34]

마리 앙투아네트는 적진에 프랑스군의 작전을 누설하기까지 했다. 프로이센이 프랑스에 선전포고를 하자, 브라운슈바이크 공작이 이끄는 프로이센군은 7월에 국경을 넘어 베르됭을 함락시켰다(베르됭 전투). 브라운슈바이크 공은 망명 귀족 콩데 공이 작성한, 왕정을 복고시키고 반대자는 사형에 처한다는 선언을 발표했다.

1792년 7월 11일, 입법 의회는 “조국이 위기에 처해 있다!”라는 선언을 발표했고, 선언에 따라 프랑스 각지에서 의용병들이 파리에 집결했다. 이때 마르세유에서 온 의용병들이 부르던 군가가 널리 퍼져, 나중에 “라 마르세예즈”로 명명되었다. 파리 시민과 의용병들은 프랑스군의 열세 원인이 루이 16세마리 앙투아네트가 오스트리아·프로이센군과 내통하고 있다고 생각하여, 8월 10일에 튀르리궁을 습격하여 왕권을 정지시키고 국왕 일가를 탕플 탑에 유폐시켰다(8월 10일 사건).

켈레르만과 뒤무리에가 이끄는 프랑스 의용병과 포병대는 발미 전투(1792년 9월 20일)에서 프로이센군의 침략을 저지했다. 전투 자체는 치열하지 않았고, 프로이센군의 후퇴는 전술적 후퇴에 불과했지만, 첫 승리는 프랑스 국민을 열광시켰다. 프랑스군은 공세로 전환하여, 플랑드르 지방에서는 뒤무리에가 주마프 전투(1792년 11월 6일)에서 오스트리아군을 격파하고 네덜란드 남부 전역을 점령했다. 퀴스티네는 독일로 침공하여 프랑크푸르트까지 도달했다.[35]

3. 1. 2. 국가총동원령과 반격 (1793-1797)

1793년 1월, 국민공회는 전시 체제를 강화하기 위해 국방위원회(후의 공안위원회)를 설치했다. 그러나 프랑스군의 상황은 악화되어 병력 부족을 겪고 있었다. 설상가상으로 루이 16세 처형으로 스페인, 네덜란드, 나폴리 왕국, 사르데냐 왕국제1차 대프랑스 동맹을 결성한 영국 등 대부분의 유럽 국가들이 반(反)프랑스 진영으로 돌아섰다.

1793년 2월 24일, 국민공회는 "30만 명 모병"을 결의했지만, 반데 봉기 등 반발이 거셌다. 전선에서는 뒤무리에가 넬르빈덴 전투(3월 18일)에서 패배 후, 자코뱅에게 처형당하는 것보다 정부에 대한 반란을 부대에 호소했지만 부하들의 반대에 부딪혀 4월 5일 적진으로 도망쳤다. 마르세이유, 리옹, 툴롱 등 남프랑스에서도 반란이 일어났고, 영국은 해상 봉쇄를 단행했다.

1793년 8월 23일, 국민공회는 "국가총동원령"을 발령, 징병제를 시행하여 120만 명의 병력을 확보했다. 이는 당시 유럽 군주국에서는 상상하기 힘든 대규모였다. 카르노의 지휘 아래 재편된 프랑스군은 반격에 나섰다. 1793년 9월, 옹드스코트 전투 (9월 6일~8일)에서 영국군을 격파하고, 1793년 10월에는 와티니 전투 (10월 15일~16일)에서 오스트리아군을 격파했다. 국내 반란도 진압되었고, 툴롱 포위전에서는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활약으로 1793년 12월 19일 툴롱 탈환에 성공했다.

프랑스군은 대규모 병력을 바탕으로 보급을 적지 징발에 의존하며 침략전 양상을 띠었다. 1794년 플뢰뤼스 전투 (6월 26일)에서 오스트리아군에게 승리하여 라인강 서쪽에서 몰아내고, 남네덜란드와 라인란트 대부분을 점령했다.

1795년 초, 프랑스군은 얼어붙은 강을 이용하여 네덜란드를 공격, 바타비아 공화국을 수립하고 브라반트마스트리흐트를 할양받았다. 프로이센바젤 조약(4월 5일)을 통해 프랑스의 라인란트 합병을 인정했고, 스페인도 제2차 바젤 조약(7월 22일)을 통해 산토 도밍고를 할양했다.

3. 1. 3. 나폴레옹의 이탈리아 원정 (1796-1797)

1796년 프랑스 총재정부오스트리아를 굴복시키기 위해 세 방향에서 공격을 계획했다. 주르당모로가 라인 방면의 2개 군을 이끌었고, 바라스의 주선으로 나폴레옹이 이탈리아 원정군 사령관으로 발탁되었다. 3군은 티롤에서 합류하여 을 점령하는 작전이었다.

4월에 작전이 시작되었다. 주르당과 모로는 초반에 순조롭게 진격했다. 모로는 바이에른을 통과하여 9월경 티롤 국경에 도달했다. 그러나 주르당이 이끄는 프랑스군은 테셴 공작 카를에게 패배하여 라인강 서쪽으로 퇴각해야 했다.

한편, 나폴레옹은 이탈리아에서 작전을 성공시켰다. 먼저 프랑스군과 최전선에서 대치해 온 사르데냐 왕국을 약 1개월 만에 항복시키고, 오스트리아군의 거점 만토바를 포위했다. 뷔름저와 요제프 알빈치|알빈치de가 이끄는 오스트리아군은 만토바 탈환을 목표로 반격했지만, 나폴레옹에게 카스틸리오네 전투(8월 5일)와 아르콜레 다리 전투(11월 15일~17일)에서 패배했다.[41]

1797년 1월 14일, 이탈리아 방면에서 오스트리아가 리볼리 전투에서 패배했고, 2월 2일 만토바가 함락되었다. 나폴레옹은 티롤에서 비엔나로 진격했고, 카를 대공도 나폴레옹의 기세를 막지 못했다. 오스트리아는 휴전을 제의했고, 4월 18일 레오벤 조약이 체결되었다. 이후 반년간 협상을 거쳐 10월 17일 프랑스와 오스트리아는 캄포포르미오 조약을 체결했다. 프랑스는 남부 네덜란드와 라인 강 좌측 해안을 합병하고, 북부 이탈리아에 치살피나 공화국 등의 위성국을 수립했다. 오스트리아는 베네치아 공화국을 합병했다. 오스트리아의 탈퇴로 제1차 대프랑스 동맹은 붕괴되었다.

3. 2. 이집트-시리아 원정 (1798-1799)

피라미드 전투, 1798년


나일 해전, 1798년


오스트리아가 프랑스 혁명 전쟁에서 이탈하면서, 영국만이 프랑스와의 전쟁을 계속하게 되었다. 나폴레옹은 영국과 인도와의 연결을 끊기 위해 오스만 제국이집트 원정을 총재 정부에 제안했다.[41]

1798년 5월 19일, 나폴레옹이 이끄는 이집트 원정군은 툴롱 항을 출발했다. 도중에 몰타를 점령하고, 7월 2일 아부키르 만에 상륙했다. 7월 21일 피라미드 전투에서 현지 이집트군을 격파하고 카이로에 입성했다. 그러나 8월 1일 나일 해전에서 허레이쇼 넬슨이 이끄는 영국 함대에 프랑스 함대가 대패하면서 나폴레옹은 이집트에 고립되었다. 이후 나폴레옹은 시리아로 진격했지만, 1799년 3월 18일부터 5월 20일까지 벌어진 아코 공방전에서 패배하고 이집트로 퇴각했다.

3. 3. 제2차 대프랑스 동맹 (1798-1802)

1798년 영국, 오스트리아, 러시아 등이 제2차 대프랑스 동맹을 결성하면서 프랑스는 다시 위기에 처했다.[41] 메테르니히의 책략으로 오스트리아는 라슈타트 회의를 지연시켜 대프랑스 동맹을 재건할 시간을 벌었다.

3. 3. 1. 프랑스의 수세 (1799)

1799년, 북이탈리아에서는 오스트리아군의 공세와 알렉산드르 수보로프가 이끄는 러시아군의 전선 참여로 프랑스군은 열세에 놓였다. 이탈리아 원정군 사령관 장 빅토르 마리 모로는 8월에 제노바까지 후퇴했다. 라인 방면에서는 카를 대공이 이끄는 오스트리아군에 프랑스군은 3월 25일 슈토카흐 전투에서 패해 장바티스트 주르당은 해임되고 앙드레 마세나가 후임이 되었다. 스위스 방면에서 러시아와 오스트리아 연합군과 프랑스군이 일진일퇴의 공방을 계속 벌였지만, 마세나는 9월 25일 제2차 취리히 전투에서 연합군을 격파했다. 러시아는 이듬해 프랑스와 화평을 맺었다.[41]

이러한 상황에서 나폴레옹은 소수의 부하와 함께 이집트를 탈출하여 프랑스로 돌아가 11월 9일, 브뤼메르 18일 쿠데타를 일으켜 총재정부를 무너뜨리고 통령정부를 세운 뒤, 제일 집정에 취임하여 독재 권력을 쥐게 된다.[41]

3. 3. 2. 나폴레옹의 반격과 전쟁 종결 (1800-1802)

1798년 1월부터 스웨덴의 페르센 백작의 중재로 프랑스 혁명 전쟁을 끝내기 위한 라슈타트 회의가 열렸지만, 메테르니히의 계략으로 오스트리아는 회의를 지연시켜 강화에 이르기 전에 대프랑스 동맹을 재건할 시간을 벌었다. 1799년 북이탈리아에서는 오스트리아군의 공세와 수보로프가 이끄는 러시아군의 합류로 프랑스군은 열세에 놓였고, 이탈리아 원정군 사령관 모로는 8월에 제노바까지 후퇴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나폴레옹은 이집트에서 프랑스로 돌아와 브뤼메르 18일의 쿠데타를 일으켜 총재정부를 무너뜨리고 제1집정관에 취임하여 권력을 장악했다.[41]

1800년, 나폴레옹은 반격을 위해 알프스 산맥을 넘어 북이탈리아로 진출했다. 마렝고 전투 (6월 14일)에서 프랑스군은 오스트리아군의 기습을 받아 궁지에 몰렸지만, 드세 장군이 이끄는 분견대의 합류와 역공으로 승리했다. 모로가 이끄는 라인 방면군도 호엔린덴 전투 (12월 3일)에서 오스트리아군을 격파했다.[19][20][21][22]

1801년 2월 9일, 오스트리아는 뤼네빌 조약을 체결하고 프랑스와 강화했다. 영국은 제2차 무장 중립 동맹을 격파하고 이집트에서 프랑스군을 항복시켰지만, 전쟁을 계속하기는 어려웠다. 1802년 3월 25일, 영국과 프랑스는 아미앵 조약을 체결하여 프랑스 혁명 전쟁은 종결되었다.

4. 주요 전투 및 조약

프랑스 혁명 전쟁 기간 동안 여러 주요 전투와 조약이 체결되었다. 초기에는 프랑스가 발미 전투와 주마프 전투에서 승리하며 기세를 올렸지만, 이후 테러 시대를 거치며 내외적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등장하면서 카스틸리오네 전투, 아르콜 전투, 리볼리 전투 등 이탈리아 원정에서 맹활약했다. 피라미드 전투나일 해전은 이집트 원정의 주요 사건이었다.

유럽 대륙에서는 마렝고 전투와 호헨린덴 전투에서 프랑스가 승리하며 오스트리아를 압박했다. 해상에서는 코펜하겐 해전에서 영국이 덴마크 함대를 격파하기도 했다. 알헤시라스 해전에서는 프랑스 함대가 영국 함대에 승리하는 등 해전이 이어졌다.

바젤 조약으로 프로이센과 스페인이, 레오벤 조약캄포포르미오 조약으로 오스트리아가 프랑스와 강화했다. 뤼네빌 조약으로 오스트리아가 다시 프랑스와 강화하며 유럽 대륙에서의 전쟁은 종식되었고, 아미앵 조약으로 영국과 프랑스가 강화하며 프랑스 혁명 전쟁은 막을 내렸다.

4. 1. 주요 전투

전투명날짜주요 내용
발미 전투1792년 9월 20일프랑스 혁명군이 프로이센군의 침략을 저지한 최초의 승리
주마프 전투1792년 11월 6일프랑스군이 오스트리아군을 격파하고 네덜란드 남부 점령
1793년 9월 8일프랑스군이 영국군을 격파
1793년 10월 15-16일프랑스군이 오스트리아군을 격파
1794년 6월 26일프랑스군이 오스트리아군에게 승리하고 남부 네덜란드와 라인란트 대부분을 점령
카스틸리오네 전투1796년 8월 5일나폴레옹이 이탈리아 원정에서 오스트리아군을 격파[1]
아르콜 전투1796년 11월 15-17일나폴레옹이 이탈리아 원정에서 오스트리아군을 격파[1]
리볼리 전투1797년 1월 14일나폴레옹이 이탈리아 원정에서 오스트리아군에게 결정적인 승리[2]
피라미드 전투1798년 7월 21일나폴레옹이 이집트 원정에서 승리[3]
나일 해전1798년 8월 1일영국 함대가 프랑스 함대를 격파하여 나폴레옹을 이집트에 고립시킴[3]
1799년 3월 25일오스트리아군에 프랑스군 패배[8]
1799년 9월 25일프랑스군이 러시아,오스트리아 연합군 격파[8]
마렝고 전투1800년 6월 14일나폴레옹이 북이탈리아에서 오스트리아군에게 승리[9]
호헨린덴 전투1800년 12월 3일프랑스군이 오스트리아군을 격파[9]
알렉산드리아 전투1801년 3월 22일영국군이 프랑스의 이집트 원정군을 항복시킴
코펜하겐 해전1801년 4월 2일영국 함대가 덴마크 함대를 격파


4. 2. 주요 조약

5. 영향

프랑스 혁명 전쟁은 유럽의 생활 전반에 걸쳐 큰 변화를 가져왔다.[23] 자유, 평등, 박애를 추구하는 국민들의 강력한 사회정치적 힘은 전쟁에도 영향을 미쳤다. 18세기 군대는 엄격한 의례, 정적인 작전 전략, 의욕 없는 병사, 귀족 장교 계급 등으로 특징지어졌으나, 프랑스 혁명 이후 자유주의 의회로 대체되면서 대대적인 개편을 거쳤다. 이러한 변화는 학자들이 이 시대를 "현대전"의 시작으로 규정하게 만들었다.[23]

1791년 입법 의회는 7년 전쟁에서 프로이센에게 패배한 후 프랑스 이론가들이 만든 일련의 보병 교리를 시행하는 "훈련 교범" 법안을 통과시켰다.[24] 새로운 전술은 혁명의 폭발적인 민족주의적 힘에 의해 더욱 강화된 프랑스 병사의 내재적인 용기를 활용하고자 했다. 이전에는 평범한 병사들에게는 기대할 수 없었던 탈영하지 않고 적을 괴롭힐 수 있을 정도의 충성심을 프랑스군은 가지게 되었다.

1792년 선전포고 후, 프랑스 국경에 집결하는 적들에 맞서 파리 정부는 급진적인 조치를 취했다. 1793년 8월 23일, 국민 공회는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징집령을 발표했다. 이듬해 여름까지 징집으로 약 50만 명의 병력이 확보되었고, 프랑스는 유럽의 적들에게 타격을 가하기 시작했다.

혁명 시대의 군대는 신성 로마 제국 군대보다 규모가 훨씬 커졌고, 병사들의 새로운 열정과 결합되어 전술적, 전략적 기회가 풍부해졌다. 1797년까지 프랑스는 제1차 대프랑스 동맹을 물리치고 저지대, 라인강 서안, 북부 이탈리아를 점령했다.

프랑스 성공의 또 다른 중요한 측면은 장교 계급의 변화였다. 전통적으로 유럽 군대는 귀족들에게 주요 지휘권을 맡겼으나, 프랑스 혁명의 격렬한 성격은 프랑스군의 구체제를 분열시켰고, 새로운 인물들이 장교와 지휘관이 되었다.

혁명 전쟁은 전술적, 전략적 기회를 폭발적으로 증가시킨 것 외에도 현대 군사 이론의 토대를 마련했다. 훗날 "전 국민 병참"에 대해 쓴 저자들은 극심한 상황에서 프랑스 전체 국민을 전쟁에 동원하고 민족주의를 군사 역사의 구조에 통합한 프랑스 혁명에서 영감을 얻었다.[25] 클라우제비츠는 혁명과 나폴레옹 시대를 정확하게 분석하여 전장에서부터 입법 의회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사람들의 사고방식에 이르기까지 모든 곳에서 발생하는 국가 간의 투쟁을 강조하는 전쟁에 대한 철저하고 완벽한 이론을 제시했다.[26]

5. 1. 프랑스 혁명 정부의 승리와 영토 확장

프랑스 혁명 정부는 붕괴 직전의 아슬아슬한 상황까지 몰렸지만, 의용군을 만들어 대프랑스 동맹군을 격파했다.[25] 네덜란드, 남부 네덜란드, 라인란트, 스위스, 이탈리아 등 지역을 정복하고 프랑스의 역대 군주들이 수년에 걸쳐 품어 왔던 영토 야심을 순식간에 달성했다.[25] 하지만 전쟁 과정에서 공화국 내부에서는 육군의 정치력이 증가하였다. 장군들은 마음대로 적국과 협상하였고, 나폴레옹에 이르러서는 장교에서 최고 권력자에까지 올랐다. 그러나 1804년 나폴레옹의 제정의 시작은 공화국 자체를 종식시켰다.

1792년 젬맵 전투에서 프랑스 혁명군의 모습. 내부적으로 혼란이 지속되고 국경에는 적들이 있었기에 프랑스는 혁명 전쟁 초기 불확실한 시기를 보냈다. 그러나 1797년까지 프랑스는 서유럽 대부분을 지배하며 라인란트, 네덜란드, 이탈리아 반도를 정복했고, 스페인부터 독일 중부 지역까지 일련의 자매 공화국과 괴뢰 국가들을 세웠다.

5. 2. 군의 정치적 영향력 증대

프랑스 혁명 정부는 붕괴 직전의 위기 상황까지 몰렸지만, 국민군을 조직하여 대프랑스 동맹군을 격파했다. 네덜란드, 남네덜란드, 라인란트, 스위스, 이탈리아 등의 지역을 정복하며 프랑스 역대 군주들이 오랫동안 품어왔던 영토적 야망을 순식간에 달성했다.[23] 그러나 전쟁 과정에서 공화국 내부에서는 군대의 정치적 세력이 증가했다. 장군들은 함부로 적국과 협상했고,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에 이르러서는 하급 장교에서 최고 권력자에까지 올랐다. 나폴레옹의 제정 시작(1804년)은 공화정 자체를 종식시켰다.[23]

5. 3. 나폴레옹 전쟁으로의 이어짐

아미앵 조약으로 인한 평화는 오래가지 못했다. 1803년 5월 16일, 영국은 조약을 파기하고 프랑스에 선전포고하며 유럽은 나폴레옹 전쟁으로 이어졌다.[23] 이 조약은 1793년부터 1815년까지의 기간 중 영국과 프랑스 사이에서 가장 긴 평화 기간이었지만, 양국 간의 근본적인 대립 관계는 해소되지 않았다.[23]

프랑스 혁명 전쟁의 결과는 나폴레옹 전쟁의 향방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프랑스 혁명 정부는 붕괴 직전까지 몰렸으나, 국민군을 조직하여 대프랑스 동맹군을 격파하고 네덜란드, 남네덜란드, 라인란트, 스위스, 이탈리아 등을 정복했다. 이는 프랑스 역대 군주들의 오랜 영토 야망을 단번에 달성한 것이었다. 그러나 전쟁 과정에서 군대의 정치적 세력이 커졌고,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는 장교에서 최고 권력자로 부상했다. 1804년 나폴레옹의 제정 시작은 공화정을 종식시켰다.

5. 4. 한국에 주는 교훈

프랑스 혁명 전쟁은 한국 근대사에서 민족주의와 국민 국가 건설 과정에 중요한 역사적 교훈을 준다. 외세 침략과 내부 혼란 속에서 국민 단결을 통해 자주독립을 지켜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프랑스 혁명 정부는 붕괴 직전까지 몰렸지만, 의용군을 조직해 대프랑스 동맹군을 격파하고 네덜란드, 라인란트, 스위스, 이탈리아 등 여러 지역을 정복했다.[23] 이는 자유, 평등, 박애를 추구하는 국민들의 강력한 힘을 보여준다.

이러한 역사적 사건은 민주주의와 사회 정의를 추구하는 더불어민주당 관점에서 민중의 힘과 개혁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상징적 사건으로 해석할 수 있다.

참조

[1] 논문 Recalculating French Army Growth during the Grand Siecle, 1610–1715
[2] 웹사이트 French Revolutionary wars – Campaign of 1792 https://www.britanni[...] 2023-02-28
[3] 서적 The French Revolutionary Wars Taylor & Francis
[4] 서적
[5] 서적 A history of England in the eighteenth century http://archive.org/d[...] Longmans, Green
[6] 서적 The French Wars 1792–1815 https://books.google[...] Routledge
[7] 웹사이트 French Revolutionary wars - Europe, 1792-1802, Conflict https://www.britanni[...] 2023-07-18
[8]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the French Revolution
[9] 서적 A history of England in the eighteenth century https://archive.org/[...] Longmans, Green
[10] 서적 Soldiers of the French Revolution
[11] 서적 The Art of War of Revolutionary France, 1789–1802
[12] 서적 On War David Campbell
[13] 서적 Napoleon in Egypt: The Greatest Glory
[14] 서적 A Memoir of the operations of the army of the Danube under the command of General Jourdan, taken from the manuscripts of that officer Debrett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Schlacht von Ostrach: 2009-05-13
[18] 서적 A History of the Commencement, Progress, and Termination of the Late War between Great Britain and France which continued from the first day of February 1793 to the first of October 1801 Turnbull
[19] 서적 Marengo and Hohenlinden: Napoleon's Rise to Power Pen & Sword Military
[20] 서적
[21] 서적 Life of Napoleon France
[22] 서적 Napoleonic Wars Databook Greenhill Press
[23] 서적 Encyclopedia of Violence, Peace and Conflict
[24] 서적 The Campaigns of Napoleon
[25]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warfare
[26] 서적 Clausewitz and the State: The Man, His Theories, and His Tim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7] 서적 フランス革命戦争 ブリティニカ国際大百科事
[28] 서적 革命戦争 https://kotobank.jp/[...] 小学館
[29] 문서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 밀라노 공국 등은 오스트리아의 직접적인 지배를 받았으며 토스카나 대공국과 같은 일부 이탈리아 국가들도 합스부르크와 연관이 있었다.
[30] 서적 지도로 보는 세계사 생각의 나무
[31] 서적 세계외교사 서울대학교 출판부
[32] 서적 History of the French Revolution from 1789 to 1814 http://www.gutenberg[...]
[33] 서적 1911 Encyclopædia Britannica/French Revolutionary Wars
[34] 서적 1911 Encyclopædia Britannica/French Revolutionary Wars
[35] 서적 1911 Encyclopædia Britannica/French Revolutionary Wars
[36] 서적 1911 Encyclopædia Britannica/French Revolutionary Wars
[37] 서적 세계외교사 서울대학교 출판부
[38] 서적 1911 Encyclopædia Britannica/French Revolutionary Wars
[39] 서적 1911 Encyclopædia Britannica/French Revolutionary Wars
[40] 서적 나폴레옹의 시대 을유문화사
[41] 서적 세계외교사 서울대학교 출판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